ad>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원인, 증상, 예방법
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원인, 증상, 예방법

by 어썸쿠로 2023. 9. 4.

슬개골 연골 연화증이란?

무릎 안쪽에 위치한 슬개골은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생겼는데 대퇴골과 함께 무릎뼈를 형성하고 무릎 전면부에 자리해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은 안쪽의 연골이 약해지는 질환인데 연골이 점차 탄성을 잃어 말랑말랑해지다가 약화되어 슬개골 뒤쪽으로 염증이 퍼지면서 대퇴골 초입으로 염증이 발전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슬개골과 연골 사이의 연골 조직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눈으로 보이면 슬개골 연골 연화증이 발병되어 발전했다고 봅니다. 일상생활과 밀접해 있는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원인과 증상,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원인

무릎 관절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거나 무릎뼈 연골에 외상을 입는 경우도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무릎을 꿇거나 쪼그리고 앉거나 계단을 너무 자주 내려가는 행동을 자주 한다면 슬개골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발병될 수 있습니다. 너무 굽이 높은 신발을 신게 되면 체중 부하가 무릎 앞으로 쏠려 무릎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무리한 운동 또한 관절을 무리하게 쓰기 때문에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증상

슬개골이 위치한 무릎 안쪽에 통증만 있다면 슬개골 연골 연화증으로 볼 수 있는데 슬개골 앞쪽 부분이 쑤시고 뻐근한 느낌이 들거나 무릎을 굽히고 펼 때 혹은 걷거나 움직일 때 슬개골과 대퇴골이 마찰되면서 관절이 부딪히는 소리가 바깥으로 나오며 통증이 동반 됩니다. 때로는 다리 저림과 떨림이 생길 수 있고 다리가 쉽게 피로해집니다. 초기에 증상이 약하다고 방치하기 쉬운 질환으로써 방치가 지속 되면 열이 나고 부종이 생겨 걷는 것조차 어려워지고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예방법

슬개골 연골 연화증은 제일 먼저 수술을 고려하지 않는 질환입니다.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은 관절 건강에 좋고 항염증효과도 있고 오메가3 지방산은 함염증제로 통증과 염증을 줄여줍니다. 비타민D는 뼈 건강에 중요하고 연골 손상 위험 줄이고 비타민C는 연골 손상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로부터 연골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항산화제입니다. 생활습관 개선이 슬개골 연골 연화증에 효과적인데 쭈그리고 앉거나 양반다리를 하는 무릎이 과도하게 접히는 자세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이 너무 많이 나가도 무릎이 받는 하중이 증가하기대문에 압력이 높아지고 염증과 신경이 압박될 수 있으므로 체중조절을 통해 그 압박감을 최소화 시켜야합니다. 허벅지 근력은 강화하되, 무리한 운동 또한 통증이 있을 때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단을 너무 자주 오르내리거나 장시간 등산을 하는 운동은 무릎에 부담을 주는 운동법이니 평지를 걷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력의 부담을 받지 않고 관절 질환 환자에게 좋다고 흔히들 알려져 있는 수영은 허벅지 근육도 강화해주기 때문에 통증으로 걷기가 힘들다면 수영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무릎의 모양이 바뀌는 정도를 지켜보며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데 치료법으로는 슬개골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주변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만들어 주는 비수술 보존치료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